본문 바로가기
반응형

Computer Science/Operating System2

동기 비동기 블로킹 논블로킹, 이 글 하나로 끝내자! 안녕하세요! NewCodes입니다! 프로그래밍을 배우다보면 꼭 마주치는 개념이 있죠! 바로 동기 / 비동기 / 블로킹 / 논블로킹입니다. 처음 접하면 너무 헷갈리고 어렵지만,이 글 하나로 명확하게 정리해드릴게요! 🔥 이를 잘 알아야컴퓨터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, 빠른 성능의 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습니다. 읽고 나면Node.js, Spring Webflux, Redis, NginX등과 같은 기술을 더욱 잘 이해할 수 있게 되실 겁니다! 또, 효율적인 코드를 작성하는 데 도움이 되실 겁니다! 🎯 동기, 비동기, 블로킹, 논블로킹의 차이점'동기 비동기 블로킹 논블로킹' 해당 개념은 운영체제에서 비롯된 개념입니다. 느린 I/O를 어떻게 하면 최적화할 수 있을까를 고민한 결과의 산물입니다... 2025. 5. 24.
1초에 80,000번 Network I/O를 하면 생기는 병목을 분석해보자! 안녕하세요! NewCodes입니다! 저번 글에서 실시간 퀴즈 게임 프로젝트에 대해부하테스트와 성능최적화 글을 다루었습니다. Artillery를 통한 Socket.io 게임 서버 부하테스트 경험기실시간 게임 서버 성능 최적화 - 한 게임방에서 200명이 플레이?! 이번 글에서는 Network I/O가 어떻게 일어나는지고수준에서 저수준으로 깊게 파보려 합니다. 이번에는 병목의 원인으로 잡혔던 Network I/O에서 저수준에서 어떤 부분이 원인이었을지를 탐구해보겠습니다. 이를 통해 다음에 트래픽이 상승하여 서버에 부하가 생겼을 때,개선 방향은 무엇이 있을지 고민해보려 합니다. 이 글에서 다루고자 하는 내용Network I/O가 Node.js에서부터 시작해서 OS까지 이루어지는 과정 분석하기 I/O는 .. 2025. 1. 15.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