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반응형

Computer Science/Database2

Index는 왜 빠를까? 백엔드 개발자라면 Index가 DB 조회 성능에 좋다는 건 익히 들어봤을 것이다. 이 글을 통해 왜 빠른지, 내부 구조는 어떻게 되어있는지 살펴보자. 🚀 Index의 효과index를 직접 써보며 그 효과부터 체감해보자. 준비실험 환경은 다음과 같다.하드웨어: Github Codespace (CPU 2개, RAM 8GB)데이터베이스: MySQL 8.0.42데이터: 부동산 테이블과 100만개의 레코드 아래와 같은 부동산 테이블을 준비했다. CREATE TABLE real_estate_transaction ( id BIGINT AUTO_INCREMENT PRIMARY KEY, -- 거래 데이터 ID transaction_type VARCHAR(20) NOT NULL, .. 2025. 7. 11.
트랜잭션 제대로 알고 계신가요? 면접을 대비하거나, CS를 공부할 때 트랜잭션을 한 번쯤 접했을 것이다. 트랜잭션에 대해 피상적으로만 학습하고 넘어가는 경우가 많을 거라 생각한다. 이 글을 통해서 트랜잭션에 대해 더욱 깊게 이해했으면 한다. 이 글은 최대한 신뢰할 수 있는 내용으로 전달하려 노력했다.또, 직접 그린 그림으로 이해하기 쉽게 전달하려 했다. 이제 본격적으로 시작해보자! 📍 개요트랜잭션을 정립한 사람 트랜잭션은 여러 개발자들로부터 자연스럽게 발전한 개념이다. 이를 이론적으로 정립한 건 미국의 컴퓨터 과학자인 Jim Gray이다. 1992년에 『Transaction Processing: Concepts and Techniques』이라는 책을 출판했다. Jim Gray는 트랜잭션을 포함하여 데이터베이스에 기여한 공로.. 2025. 6. 25.
반응형